[스크랩] 걷기 좋은 서울길, 어디 있을까? 걷기 좋은 서울길, 어디 있을까? 서울시 ‘가을철 걷기 좋은 서울길 10선’ 발표 서울톡톡 조선기 | 2012.10.05 [서울톡톡] 가을은 걷기 좋은 계절이다. 이 가을을 마음껏 누리고 싶다면 '서울길' 10선과 함께 해보자. '가을철 걷기 좋은 서울길 10선'은 로드 플래너 손성일 씨의 추천으로 서울 .. 사적, 명승지 2012.10.14
[스크랩] 韓國의 世界文化遺産(2) - 石窟庵 과 佛國寺 佛國寺 와 石窟庵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Grotto 世界文化遺産 1995年 指定 慶州 佛國寺 토함산(745m)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는 1,440년전 신라 법흥왕 22년에 그 어머니 뜻에 따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위하여 세워졌으며, 그후 신라 경덕왕 (742-764)때 재상 김대성이 다시 지어 .. 사적, 명승지 2012.10.04
[스크랩] 韓國의 世界文化遺産 (1) - 昌德宮 ;;; ;;; 昌德宮 The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世界文化遺産 1997年 指定 창덕궁은 조선왕조 제3대 태종 5년(1405) 경복궁의 이궁으로 지어진 궁궐이며 창건시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, 편전인 선정전, 침전인 희정당, 대조전 등 중요 전각이 완성되었다. 그 뒤 태종 12년(1412)에는 돈화문이 건립되었.. 사적, 명승지 2012.10.03
[스크랩] 史跡 巡禮 (4) ;; ;; 史跡 巡禮 (4) 史跡139호 김포 문수산성 갑곶진과 함께 강화의 입구를 지키던 조선시대의 성이다. 조선 숙종 20년(1694)에 돌을 이용해 쌓은 석축산성으로 순조 12년(1812)에 고쳐 쌓았다 고종 3년(1866)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과 치열한 전투를 치른 곳이다 史跡 147호 문경 관문 (제1,제2,제3관.. 사적, 명승지 2012.10.02
[스크랩] 史跡 巡禮 (3) ;;; ;;;;; 史跡 巡禮 (3) 史跡 230호 유관순열사 유적 3·1운동 때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순국한 유관순 열사의 유적으로, 생가와 매봉교회, 유적비 그리고 봉화를 올렸던 봉화터가 있다. 유관순 열사는 대대로 내려오는 선비가문에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다. 1916년에는 선교사.. 사적, 명승지 2012.10.01
[스크랩] 史跡 巡禮 (2) ;; ;; 史跡 巡禮 (2) 史跡 32호 독립문 갑오개혁 이후 자주독립의 의지를 다짐하기 위해 세운 기념물이다. 갑오개혁(1894∼1896)은 내정개혁과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던 개혁운동이다. 그러나 외국세력의 간섭으로 성공하지 못하였고, 나라의 자주독립 또한 이루지 못하였다. 이에 국민들은 민.. 사적, 명승지 2012.10.01
[스크랩] 史跡 巡禮 (1) ;; ;; 史跡 巡禮 (1) 史跡 1호 慶州 鮑石亭址 경주 남산 서쪽 계곡에 있는 신라시대 연회장소로, 젊은 화랑들이 풍류를 즐기며 기상을 배우던 곳이다. 중국의 명필 왕희지는 친구들과 함께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술잔이 자기 앞에 오는 동안 시를 읊어야 하며 시를 짓지 못하면 벌로 술 3잔을 .. 사적, 명승지 2012.09.27
[스크랩] 만석군 고택 102칸 짜리 강릉 선교장…강원도 유일의 만석꾼# 족제비가 만들어준 부잣집 한국 최고의 부잣집 한옥은 어디일까. 일반적으로 궁궐이 아닌 일반 양반집으로 가장 크게 지을 수 있는 집은 99칸이라고 알려져 있다. 지나친 낭비를 막기 위해 집의 규모를 제한했다는 것이다. 그러나 꼭 그랬.. 사적, 명승지 2012.09.25
[스크랩] 寶物 巡禮(6) - 陶磁器(2) 제목 없음 ;; 陶磁器 寶物 (2) 寶物 1028호 청자반양각연당초문호 靑磁半陽刻蓮唐草文壺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항아리로 높이 24.4㎝, 아가리 지름 11.5㎝, 밑지름 11.5㎝의 크기이다 寶物 1029호 청자상감모란문주자 靑磁象嵌牡丹文注子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주전자로 높이 19.2㎝, 아가리.. 사적, 명승지 2012.09.11
[스크랩] 寶物 巡禮(5) - 陶磁 器寶物 (1) 제목 없음 ;; 陶磁器 寶物 (1) 寶物 259-1호 청자유개호 (靑磁有蓋壺)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발견된 유물들이다. 청자항아리, 금동구층소탑, 은제도금육각감이 발견되었고, 당시 금동구층소탑과 은제도금육각감은 청자항아리 안에 들어 있었다. 寶物 286호 .. 사적, 명승지 2012.09.11